평양냉면 면색의 비밀: 당신이 몰랐던 메밀의 놀라운 변신!

 수요미식회에서 언급된 옥류관 냉면의 면 색상 변화에 대한 논란과 그에 대한 진실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평양냉면 면의 색깔이 메밀 함량과는 무관하며, 메밀 가루의 도정 방식이 핵심이라는 점을 명확히 밝힌다.

옥류관 냉면, 면 색상 논란의 시작

2018년 남북정상회담 이후 옥류관 평양냉면은 대중의 큰 관심을 받았다. 특히, 과거 1999년 옥주현이 경험한 평양냉면의 면 색상과 2018년 옥류관 냉면의 면 색상이 다르다는 지적이 제기되며 논란이 불거졌다. 1999년에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평양냉면처럼 옅은 색이었던 면이 2018년에는 칡냉면이나 고구마전분 함흥냉면처럼 짙은 색을 띠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황교익 맛 칼럼니스트는 "냉면에서 메밀량이 점점 줄어든 것으로 볼 수 있다"며, 1990년대 북한의 '고난의 행군' 시기 식량난으로 메밀 대신 감자나 옥수수 재배가 늘면서 메밀이 귀해졌고, 이로 인해 냉면의 메밀 함량이 줄어들어 지금의 짙은 색 면이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옥류관평양냉면


메밀면 색상의 진실: 함량이 아닌 도정 방식이 핵심


100%메밀면

흰색메밀면

회색빛메밀면


위 사진에서 왼쪽, 오른쪽 메밀면은 모두 메밀 100% 면이다.

메밀면의 색상은 단순히 메밀 함량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메밀 100% 면이라 할지라도 도정 방식에 따라 전혀 다른 색을 낼 수 있다. 실제로 도정한 메밀가루를 사용하면 우리가 흔히 '서울식 평양냉면'에서 볼 수 있는 흰색에 가까운 면이 만들어진다. 반면, 도정하지 않은 메밀가루, 즉 메밀 껍질을 함께 빻아 만든 가루를 사용하면 옅은 회색을 띠게 된다.

여기서 더 나아가, 볶은 메밀을 빻아 사용하면 면 색깔이 더욱 검게 변하며, 심지어 메밀 껍질만 태운 것을 빻아 섞어 쓰기도 한다. 이는 냉면 면을 만드는 이들에게는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면의 색상은 도정한 메밀가루도정하지 않은 메밀가루도정하지 않고 볶은 메밀가루도정하지 않고 태운 메밀가루 순으로 흰색에서 점점 검정색으로 변화한다.

옥류관 냉면, 면 색상 변화의 진정한 의미

따라서 옥류관 평양냉면의 면 색상이 짙어진 것은 메밀 함량 부족 때문이 아니라, 메밀 가루의 도정 방식 변화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1999년과 2018년 사이, 옥류관에서 메밀을 제분하는 방식에 변화가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과거보다 껍질째 빻은 메밀을 사용하거나, 볶거나 태운 메밀을 혼합하여 면을 만들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변화는 냉면의 풍미식감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북한 지역의 제분 기술 발전 또는 선호하는 냉면 스타일 변화와도 연관될 수 있다.

결론: 냉면 면 색깔에 대한 오해 해소

옥류관 평양냉면의 면 색상 변화는 메밀 함량 감소라는 단순한 논리로 설명될 수 없는 복합적인 현상이다. 면의 색깔은 메밀 가루의 도정 방식이라는 핵심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평양냉면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즐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냉면의 진정한 맛은 단순히 메밀 함량이 아니라, 면을 이루는 재료의 특성제조 방식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