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백하다'는 맛 표현, 과연 적절한가? 미디어 속 언어 사용의 쟁점

텔레비전 요리 프로그램, 먹방 콘텐츠, 그리고 수많은 블로그에서 '담백하다'는 표현은 이제 너무나 익숙하게 들려올 것이다. 최근 들어 음식의 맛을 묘사하는 데 이 단어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과연 국어사전적 의미와 부합하는 올바른 표현일까? 이 글에서는 '담백하다'의 본래 의미를 깊이 탐구하고, 대중매체에서 나타나는 이 표현의 오용 사례를 분석하며, 우리말의 풍부한 맛 표현에 대한 논의를 제기하고자 한다.


'담백하다'의 사전적 정의와 함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은 '담백하다'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1. 욕심이 없고 마음이 깨끗하다.
  2. 아무 맛이 없이 싱겁다.
  3. 음식이 느끼하지 않고 산뜻하다.
  4. 빛깔이 진하지 않고 산뜻하다.

이 중 음식 맛과 관련된 의미는 2번과 3번이다. '담백'이라는 단어는 '맑을 담(淡)'과 '흰 백(白)'이라는 두 한자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맑을 담(淡)'의 의미 해석

'담(淡)'은 '맑다' 또는 '엷다'는 뜻을 지닌다. 이 한자가 음식에 적용될 경우, 자연스럽게 '싱겁다'는 의미로 이어진다. 음식의 맛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인 간이 엷다는 것은 곧 싱거운 맛을 의미하며, 이는 종종 '맛이 없다'는 인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따라서 '담백하다'의 두 번째 뜻인 "아무 맛이 없이 싱겁다"는 간이 부족하여 음식 본연의 맛이 충분히 드러나지 않거나, 아예 맛이 없는 상태를 지칭한다.

'흰 백(白)'의 의미 해석

'백(白)'은 '희다' 또는 '깨끗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음식에 적용될 때 '깨끗하다'는 것은 인위적인 간이나 강한 향신료의 개입 없이, 재료 자체의 순수한 맛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담백하다'의 세 번째 뜻인 "음식이 느끼하지 않고 산뜻하다"가 파생된다. 이는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면서도 가볍고 깔끔한 느낌을 주는 음식을 표현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담백하다'는 간이 부족하여 맛이 없거나, 또는 인위적인 맛을 배제하고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린 깔끔하고 산뜻한 음식을 표현할 때 적절히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미디어 속 '담백함' 오용 사례: 닭 가슴살 로제 파스타의 경우

최근 한 TV 프로그램의 자막에서는 로제 소스 파스타에 닭 가슴살을 토핑하고 토치로 스모키 향을 입힌 요리를 "궁극의 담백함 닭 가슴살 파스타"라고 소개했다.



이 요리에 사용된 로제 소스는 토마토 소스와 생크림 소스의 조합이다. 토마토 소스는 산뜻한 맛을 낼 수 있지만, 생크림이 추가되면서 유지방의 풍미와 부드러움이 더해진다. 또한, 닭 가슴살은 삶을 때는 분명히 소금 간이 들어갔을 것이고, 마이야르 반응을 위해 토치로 '불 맛'까지 입혔다. 보통 닭 가슴살을 아무런 양념 없이 삶아 먹을 때 '아무런 맛이 나지 않는다'며 '담백하다'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그러나 위 요리에 사용된 "궁극의 담백함"이라는 표현은 의문을 제기한다. '궁극의 느끼하지 않고 산뜻한 맛'이란 과연 어떤 맛일까? '느끼하지 않다'는 것이 곧 '맛있다'는 의미와 직결되지 않으며, '산뜻하다'는 표현은 가볍고 맑은 느낌의 음식을 묘사할 때 주로 사용된다. 생크림과 토치로 풍미를 더한 요리에서 '느끼하지 않고 산뜻한 맛'만을 강조하는 것은 사전적 의미와 괴리가 있다. 이는 시청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제작진의 의도로 추정되지만, 과도한 수식어 사용이 단어 본연의 의미를 왜곡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시점이다.


'담백하다'와 '삼삼하다'의 올바른 사용

최근 여러 대중매체에서 패널들이 느끼하지 않은 음식을 표현할 때 "와, 담백해요"라는 감탄사와 함께 맛있는 표정을 짓는 장면을 흔히 볼 수 있다. 사전적인 의미에서 '간이 덜 되어 있는 음식'의 뜻이 아닐지라도, '느끼하지 않고 산뜻한 음식'을 먹으면서 '맛있다'는 반응을 보이는 것은 언어 사용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일반적으로 '맛있다'고 느끼는 음식은 대체로 달고, 짜고, 기름진 맛을 지닌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느끼하지 않고 산뜻하면서도 간이 약하지만 맛있는 음식을 표현할 수 있는 적절한 우리말은 무엇일까? 바로 '삼삼하다'이다. '삼삼하다'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삼삼하다'의 사전적 정의

  1. 음식 맛이 조금 싱거운 듯하면서 맛이 있다.
  2. 사물이나 사람의 생김새나 됨됨이가 마음이 끌리게 그럴듯하다.

어느 순간부터 '담백하다'는 표현이 '느끼하지 않지만 맛있는 음식'을 의미하는 것처럼 사용되고 있지만, 보다 정확하고 섬세한 맛 표현을 위해서는 '삼삼하다'는 단어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말의 풍부한 어휘를 정확하게 사용함으로써 더욱 깊이 있고 다채로운 미식 경험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미디어와 대중의 언어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